
(대구=대구교육신문) 김하윤 기자 = 결국 입시도 국어에서 승부수가 갈렸다. 뉴스1에 따르면, 통합수능 3년차인 2024학년도 대입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과생 절반 이상이 국어에서 '화법과 작문'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운 '언어와 매체'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수능에서는 기존 수학에서 강세를 보였던 이과 학생들의 강세가 국어 과목에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종로학원이 지난달 23일 치러진 2024학년도 대입수능 첫 모의고사의 표본조사(고3 687명, 재수생 1289명 대상)를 한 결과 고3 재학생 이과 학생 중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비중은 지난해 3월과 비교했을 때 50.0%에서 61.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수생 이과학생 중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비중도 같은 기간 49.5%에서 64.7%로 상승했다.
반면 문과생 중 언어와 매체 선택 비중은 같은 기간 25.1%에서 27.0%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종로학원 측은 언어와 매체는 화법과 작문에 비해 학습 부담이 높아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는 것은 애초 예상과는 다른 양상이라며 올해 입시에서는 기존 수학에서 이과생의 우세뿐만 아니라 국어에서도 이과생의 우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학계열을 목표로 하는 반수생이 들어올 경우 국어 과목에서의 점수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 있다"며 "문과 학생들은 합격선 자체가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문과 학생은 수시에서 국어 과목 변수 발생으로 수시 최저 등급 충족에 지난해보다 더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