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대구교육신문) 김하윤 기자 = 지역 소재 대학의 의학계열 전공자 10명 중 4명이 졸업 후 수도권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에 따르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실이 9일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지역대학 의학계열 졸업자 1만3743명 중 5923명(43.1%)은 지역을 떠나 서울·인천·경기 지역에 취업했다.
본인이 졸업한 대학이 소재한 지역에서 취업한 졸업생은 4171명(30.3%)에 그쳤다. 근무지가 확인된 의학·한의학·치의학 관련 학과 학부 졸업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도권으로의 이탈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이었다. 울산은 의학계열 졸업자 185명 중 149명(80.5%)이 수도권에 취업했다. 울산 지역 내에서 취업한 졸업생은 총 13명으로 전체의 7.0%에 불과했다.
강원·충남·충북 등 수도권에 인접한 지역도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강원도는 분석대상자 2536명 중 1674명(66.0%)이 의학계열 졸업 후 수도권에 취업했다. 강원도 내에서 취업한 졸업생은 496명(19.6%)에 그쳤다.
충남은 1883명 중 1221명(64.8%) 충북은 671명 중 287명(42.8%)이 수도권 지역으로 이동해 취업했다. 지역 내에서 취업한 졸업생은 각각 456명(24.2%), 218명(32.5%)이었다.

정부는 올해부터 의·약학계열 지역인재 의무 선발 비율을 40%로 확대하는 등 우수 학생을 지역에 정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로학원은 최근 전국 의과대학 중도탈락생 74%가 지역 소재 의대 출신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종로학원은 이들 중도탈락생 중 상당수가 수도권 소재 주요 의과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자퇴했을 것이라고 봤다.
이에 지역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지 못하고 오히려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이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