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대구교육신문) 이본원 기자 = 서울대·연세대·고려대 3개 학교의 정시 모집 마감 직전에 전체 지원자의 절반 이상이 집중 지원하는 등 올해도 눈치 작전이 치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뉴스1과 종로학원에 따르면 서울대·연세대·고려대 3개 학교의 2023학년도 정시 모집 전체 지원자 1만4013명 중 7667명(54.7%)이 모집 마감 직전 3시간 동안 원서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인문계열의 경우 전체 지원자의 56.6%가, 자연계열의 경우 53.0%가 모집 마감 3시간 전에 원서를 넣었다.
원서 접수 마감 3시간 전에 원서를 낸 수험생 비율은 학교별로 △서울대 인문계열 52.5%, 자연계열 51.3% △연세대 인문계열 63.5%, 자연계열 61.4% △고려대 인문계열 51.5%, 자연계열 47.7%였다.
인문계열 중 마감 3시간 직전에 지원자가 가장 많이 몰린 학과는 연세대 아동가족학과(93.8%)였고, 연세대 행정학과(90.3%), 서울대 아동가족학전공(88.1%) 순이었다.
자연계열에서는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88.3%), 연세대 산업공학과(86.8%),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84.2%) 순이었다.
상위권 학과에서는 서울대 자유전공학부(25.1%), 고려대 경영대학(34.0%), 서울대 경제학부(44.4%), 고려대 경제학과(47.9%), 자연계에서는 서울대 의예과(15.6%), 서울대 치의학과(지역균형, 18.8%), 서울대 컴퓨터공학부(20.2%), 연세대 의예과(32.3%), 연세대 치의예과(36.4%), 고려대 의과대학(36.4%) 등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상위권 학과에서도 인문계열이 자연계열보다 막판 눈치작전이 더 치열했던 것으로 확인됐다"며 "인문계열에서 눈치작전이 치열했던 것은 수학 점수에서 밀린다는 불안감과 교차지원으로 인한 불안, 국어 점수에서도 금년도에는 수학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임 대표는 "올해도 경쟁률에 상관없이 이과에서 문과 지원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발생했는데, 지원자와 실제 합격자간의 차이는 각 대학 내에서도 크게 발생할 수 있다"며 "수험생 입장에서는 합격 예측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6일 합격자를 발표한 성균관대에 이어 중앙대가 오는 13일 합격자를 발표하고, 서울대는 2월3일, 연세대 2월6일, 고려대 1월27일 순으로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