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서한샘 기자 = 2022학년도 대입에서 인문계열 학과로 교차지원한 자연계열 수험생 중 절반 이상이 반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입시업체 유웨이가 2022학년도 대입에서 인문계열로 교차지원한 자연계열 수험생 4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현재 2023학년도 대입 반수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수험생은 27.5%로 나타났다.
'현재는 반수 생각이 없지만 추후 상황에 따라 재도전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은 28.4%로 집계됐다. 전체 응답자의 55.9%가 반수 가능성을 내비친 셈이다.
'현재 반수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27.5%, '잘 모르겠다'는 16.1%였다.
교차지원 후 다시 반수를 결심하게 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38.8%가 '대학 레벨을 올리기 위해'라고 응답했다. '평소 가고 싶던 학과를 가기 위해'라고 응답한 비율은 28%로 뒤를 이었다.
2022학년도 대입에서는 문·이과 통합형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되면서 수학영역 '미적분' '기하'를 선택한 소위 자연계열 수험생이 '확률과통계'를 선택한 인문계열 수험생보다 표준점수상 유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한 자연계열 수험생 상당수가 상위권 대학 인문계열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설문 응답자의 40.7%가 교차지원한 목적으로 '대학의 레벨을 올리기 위해'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인문계열 학과로 교차지원한 자연계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학과는 '경영경제 및 회계'로 전체의 35.7%를 차지했다. Δ언어 문학 18.7% Δ철학 역사 등 인문학 15.6% Δ법학 및 사회과학 15% Δ교육 14.5%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약 한달 간의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묻자 응답자의 59.9%가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자연계에서 인문계로 교차지원한 것을 후회한 적이 있느냐'고 묻는 질문에 42.1%가 후회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은 "대학생활에 만족하는 비율과 반수를 염두에 둔 비율이 비슷하다"며 "조심스럽게 2023학년도 반수생 증가를 예상할 수 있고 대학의 중도 이탈 학생 증가도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대학들은 신입생의 중도 이탈을 막고 유지충원율 확보를 위해 교차지원한 학생들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